안녕하세요 연봉 1억 개발자 dev-woo 입니다.
깃(Git)은 형상관리 시스템(VCS, Version Control System)으로, 소스코드 변경 내역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깃(Git)을 이용하여 변경사항을 추가하고 커밋(commit)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변경사항 확인하기
우선 변경한 파일들을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it status
예를 들어 README.md 파일을 수정했다면 다음과 같은 출력이 나오게 됩니다.
On branch master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modified) README.md
no changes added to commit (use "git add" and/or "git commit -a")
이때,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부분은 커밋(commit)되기 전에 추가되지 않은 파일들을 나타내며, (modified) 뒤에 파일명이 나오는 부분은 변경 내역이 적용된 파일을 나타냅니다.
변경사항 추가하기
깃(Git)에서 변경사항을 추가하여 스테이징 영역(stage area)에 올리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it add <파일명>
또는 변경 내역이 모든 파일에 적용된 경우 다음과 같이 입력할 수 있습니다.
git add .
만약 현재 디렉토리에서 여러개의 파일을 추가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git add file1.txt file2.txt file3.txt
위 명령을 수행하면, 변경 내역이 적용된 파일들이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됩니다.
변경사항 커밋하기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파일들은 커밋(commit)을 해줘야 실제로 소스코드 변경 내역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커밋(commit)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여기서, -m 옵션은 커밋 메시지(commit message)를 작성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git commit -m "README.md 파일 내용 수정"
위 명령을 수행하면, 변경사항이 커밋(commit)됩니다.
변경사항 추가와 커밋을 한번에 하기
스테이징 영역에 파일들을 추가하고, 커밋(commit)하는 과정을 한번에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it commit -am "커밋 메시지"
위 명령어를 수행하면, -a 옵션의 역할로 변경사항이 자동으로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되며, -m 옵션을 통해 커밋 메시지(commit message)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변경사항 수정하기
만약 커밋(commit)을 한 이후에 변경사항을 수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it commit --amend
위 명령어를 수행하면, 마지막으로 한 커밋(commit)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정리
깃(Git)을 이용하여 소스코드 변경사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변경 내역을 추가하고, 커밋(commit)해야 합니다. 명령어를 잘 활용하여 Git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세요!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을 이용한 Branching과 Merging (1) | 2023.03.25 |
---|---|
SQL Syntax 소개와 이해 (0) | 2023.03.24 |
조인 (join) 여러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결합하는 방법 (0) | 2023.03.24 |
Mac에 MySQL 설정하기 (0) | 2023.03.24 |
MySQL 소개: 10년 이상의 웹 개발자가 소개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0) | 2023.03.24 |
댓글